반도체공학부 교육과정 개편안내
[중요한 변경 사항] 2026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
1. 공학수학1&공학수학2는 전공교과목이 아니라 학문기초교양으로 필수이수 교과목입니다.
2.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학문기초교양은 총 21학점이며, 일반교양은 총 4학점입니다.
[재학생에 대한 안내] 2023, 2024, 2025 학년도 신입생 및 전입생 (전과 및 편입학)
1. 공학수학 1&2는 학문기초교양(선택) 교과목으로 분류됨
2. 2024학년도 1-2학기, 2025학년도 1-2학기에도 학문기초교양으로 개설됨
3. 공학수학은 공대생(특히 반도체)는 전공필수라고 할 수 있는 만큼 중요한 교과목이며,
공학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기 때문에,
반도체공학부 모든 학생들은 반드시 수강하기를 권유드립니다.
[전입생에 대한 안내]
1.기존 전적학과/전적대학에서 이수한 공학수학 1&2는 학문기초교양으로 인정됨
2. 2026학년도 이후 전입생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됨
[변경 전/후 졸업을 위한 영역별 최소이수학점]
(변경전) 2023, 2024, 2025학년도 신입생 및 전입생
단과 대학 |
학부·학과·전공 |
교양 |
전공 |
자유 선택 |
최소이수졸업학점 |
||||
공통 교양 |
핵심 교양 |
학문기초 교양 |
일반 교양 |
소계 |
|||||
반도체·ICT |
반도체공학부 |
17 |
12 |
15 |
10 |
54 |
70 |
10 |
134 |
(변경후) 2026학년도 이후 신입생 및 전입생 (전과생 및 편입생)
단과 대학 |
학부·학과·전공 |
교양 |
전공 |
자유 선택 |
최소이수졸업학점 |
||||
공통 교양 |
핵심 교양 |
학문기초 교양 |
일반 교양 |
소계 |
|||||
반도체·ICT |
반도체공학부 |
17 |
12 |
21 |
4 |
54 |
70 |
10 |
134 |
위의 표에 있는 학점 수는 졸업을 위한 "최소"이수학점을 의미합니다.
- 최소이수학점 : 영역별 이수해야 하는 최소 학점을 의미하고, 그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는 말입니다.
- 전공 70학점은 정확히 70학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, 최소 7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는 말입니다.
-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은 최소이수학점만을 이수한 학생을 그리 바람직하게 평가하지 않습니다.
- 필요한 전공 교과목은 가능한 많이 수강 하시길 권유 드립니다.
[추후 변경될 예정인 교육과정에 대한 안내]
2026년 대비 3학년 또는 4학년 교과목에 새로운 전공교과목 2개 신설 예정
[학문기초교양 교과목의 인정]
1. 우리대학 타학과에서 반도체공학부로 2학년 또는 3학년으로 전과한 학생의 경우,
반도체공학부로 전과하기 이전 방목기초교육대학에서 학문기초교양으로 개설된 물리학2 또는 화학2를 수강한 경우에는 반도체공학부 (필수)학문기초교양 교과목에 해당하는 반도체물리 또는 반도체화학을 이수한 것으로 대체인정 할 예정입니다. (학과 졸업사정시에 상기 조건에 해당되는지 확인한 이후 결과 반영됨). 화학1은 반도체화학으로 대체인정이 불가함
2. 아너칼리지 또는 전공자유학부 학생이 2학년 승급시 반도체공학부를 선택하는 경우,
일반 전과생과는 다르게 1학년 재학 중(전공/학부 선택 이전)에 반도체화학 및 반도체물리를 수강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기 때문에 방목기초교육대학에서 개설된 화학2, 일반화학, 또는 물리학2를 반도체화학 또는 반도체과학을 수강한 것으로 인정할 수 없음. (졸업을 위해서는 반도체공학부에서 지정한 학문기초교양인 반도체화학 및 반도체물리를 모두 이수해야 함)